본문 바로가기

내집짓는 건축상식

내집짓기 건축상식 풍수지리편

안녕하세요 추석연휴가 시작되었는데 이렇게 글을 쓰고 있습니다

다들 명절은 잘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은 내집짓기 시리즈중 직접적인 건축행동은 아니지만, 집을 지을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풍수지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풍수지리란?

풍수지리는 음양오행설을 기반으로 지리를 체계화한 전통적인 자연관 입니다

고려시대 때부터 천년이상 우리 조상들의 집

터를 마련해주는 기준이 되어주기도 했습니다

풍수지리사진

풍수의 본래적인 의미는 지극히 일상적인 평범한 생활환경을 대변한다 라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도읍이나 조상의 묘를 세우는 등의 특정한 상황에만 적용되었지만, 현재는 우리가 먹고,자고 일하는 생활 공간에도 해당됩니다

 

배산임수

배산임수 배치방법은 한국 전통 건축의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까지도 일상에 깊숙히 적용되고있는 이상적인 배치방법 입니다

 

배산임수는 말 그대로 '산을 등지고 물이 있는 쪽을 바라본다'라는 의미로

지면에서 약간이라도 높은 부분에 건물을 짓고, 낮은 지대에는 마당을 설치함으로써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보도록하는 배치를 합니다. 즉, 등고선에 의한 배치를 뜻합니다

 

실제로 배산임수 지리는 산에서 뗄감이나 산나물을 얻고, 하천을 이용해 농사를 지을 수 있기 때문에 풍수 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요소와 선조들의 지혜가 녹아나는 배치방법 입니다. 

배산임수야말로 가장 이상적인 명당이 아닐까요?

 

 

풍수지리를 통해 좋은 집터 고르는 방법!

1. 집터의 높낮이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으면 생기가 융하고, 동쪽이 낮고 서쪽이 높으면 부자는 되나 대단하지 못하며

앞쪽이 높고 뒷쪽이 낮으면 집안에 불화가 잦고, 앞쪽이 낮고 뒷쪽이 높으면 재산이 늘고 세세에 영호를 낳는다고 합니다

사방이 높고 가운데가 낮으면 부자일지라도 결국은 가난해진다 합니다

국면이 넓고 평탄하면 아주 좋은 명당! 입니다

 

2. 집터의 방향

정서나 정북으로 향하고 있다면 좋지 않은 자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남북이 넓고 동서가 좁은 터전이 좋고, 남북이 좁고 동서가 넓으면 처음에는 흉하지만 차츰 좋아지는 자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측이 넓고 좌측이 좁으면 부자가 되고, 반대로 좌측이 넓고 우측이 좁으면 자손이 적습니다. 

앞이 넓고 뒤가 좁으면 가난하며, 반대로 앞이 좁고 뒤가 넓으면 부귀를 다 누릴 수 있다고 합니다

 

3. 집터와 물, 언덕

집터의 좌측으로 물이 흐르면 이를 청룡이라고 합니다

우측에는 능선이 있어 장도가 되었으면 이를 백호라고 칭합니다

앞쪽에 못이 있으면 이를 주작, 뒷쪽에 언덕이 있으면 이를 현무라고 합니다

이런 터전을 일컬어 최귀지라고 합니다

 

풍수지리사진2

 

4. 마땅한 집터

집터가 궁궐 사찰시선이 사는 부근에 있으면 그 주인은 오래오래 장수하고, 가족이 평안하며 재산이 넉넉해진다고 합니다

 

5. 마땅하지 않은 집터

신전/불후/고악/싸움터/제구/대장간/방아산/기름방/오래된 무덤/떨어진 바위의 벼랑/물골이 합쳐지는 곳/교통이 번잡한 곳/큰길가/절터/하수구가 모이는곳/초목이 나지않는 자리/사당에 이웃한 자리

 

하지만 요즘시대에는 교통이 번잡하거나 큰 길가, 즉, 역세권 및 상가시설이 잘 되어있는 곳을 선호하곤 하죠?

LIST